MY MENU

SDGs & ESG 국제환경연구원

제목

【칼럼–이규철 원장】 - 중요업적지표(KPI)의 특징

작성자
이규철
작성일
2025.05.11
첨부파일0
추천수
1
조회수
12
내용

중요업적지표(KPI)의 특징

 

KPI특정으로 선진적인 대처

환경ㆍ사회의 중요성(materiality)과 재무의 중요성(materiality)의 어느 관점에서 공시에서도 과제의 대응 상황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해당 과제와 관련하는 중요업적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특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KPI특정은 시계열(시간적 변화를 관찰하여 얻은 값)과 기업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유익하다


KPI가 개선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에 의해 자사의 과제대응이 과거와 비교하여 진보하고 개선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KPI특징은 자사가 타사와 비교에서 선진적인 대처를 하고 있다는 평가를 투자가와 이해관계자로부터 받는 것으로 이어진다.

 

SDGsESG가이드라인 참조

KPI특정에 있어서는 다양한 SDGsESG 규칙(예컨대, SASBGRI 등의 비재무정보공시틀, EU비재무정보공시지침 등)에 특정되어 있는 각 과제에 관한 KPI를 참조하는 것이 유익하다. 예컨대, EU비재무정보공시지침의 가이드라인에서는 다음 도표와 같이 환경, 노동, 인권존중, 부패방지, 공급망 및 분쟁 광물이라는 분야에 관한 각 분야가 공시해야 할 구체적인 항목과 KPI의 예를 열거하고 참고한다.

 

                                                                                                          【EU비재무정보공시 가이드라인의 KPI예시

분야

KPI의 예

환경

에너지 성능과 그 개선 ; 비재생가능 에너지에서 에너지 소비량과 에너지 효율 ; 미터 톤 당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화가스 배출량 ;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량(절대량과 농도) ; 자연자원의 채굴량 ; 자연자본과 생물 다양성에 대한 영향과 의존성 ; 폐기물 관리(, 재활용 비율)

노동

젠더(gender, 성별) 기타 다양성 ; 육아휴가를 받는 근로자 수ㆍ남여 별 ; 노동재해사고ㆍ질병 리스크가 높은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수 ; 노동재해사고 수, 업무로 인한 상해의 종류 ; 근로자 소득 ; 유기(有期) 계약사원 비율ㆍ남여 별 ; 근로자 상담절차 ; 장애자 고용 수

인권

존중

사업ㆍ결정에 관해 중대한 인권에 악영향이 발생한 건 수 ; 불만 접수ㆍ대처절차 ; 인권침해 완화하고 구제를 제공하는 절차 ; 심각한 인권침해 리스크가 있는 사업ㆍ공급자 ; 인신거래ㆍ강제노동ㆍ아동노동ㆍ불안정고용ㆍ위험한 노동환경 등 착취를 방지하기 위한 수속ㆍ조지(특히 학대 리스크가 높은 지역) ; 장애자 시설ㆍ문서ㆍ웹사이트 접속 가능성 ; 결사의 자유 존중 상황 ; 관련 이해관계자와 대화 상황

부패

방지

부패방지방침, 수속, 기준 ; 증여 리스크의 평가에 이용되는 기준 ; 증여 방지를 위한 배분된 내부통제 프로세스ㆍ자원 ; 적절한 연수를 받은 근로자수 ; 내부통보제도의 이용사항 ; 부정경쟁 행위에 관한 법적 처분 수

공급망

이하의 점에 관한 공급자 감사상황 : 아동노동ㆍ강제노동, 불안정고용ㆍ임금, 위험한 노동조건(건물의 안정성ㆍ안정장치ㆍ노동위생 포함)을 포함하는 노동관행 ; 인신거래 기타 인권문제 ; 온난화 가스배출 및 기타 종류의 물ㆍ환경오염 ; 삼림파괴 및 기타 생물 다양성에 관한 리스크

기업의 공급자에 대한 영향력에 관한 감사상황 : 예컨대, 지불조건ㆍ평균지불기간

분쟁

광물

OECDㆍ실사(DD)가이던스(guidance)와 정합한 분쟁 광물실사(DD) 방침을 채용하고 있는 직접 관계하는 공급자의 비율 ; 분쟁지역 및 높은 리스크 지역 원산 주석, 탄탈(Tantal, 백금 대용품), 텅스텐, 금에 관해 책임 있는 조달 원재료의 비율 ; OECDㆍ실사(DD)가이던스 아래 분쟁 광물실사(DD) 정보를 계약서상에 요구하는 관계 고객의 비율

 

독자적인 KPI의 설정 가능성

중요과제의 대응에 있어서 SDGsESG 규칙과는 다른 독자 KPI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경우에는 이것을 선택하는 것도 고려된다.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에 적합한 KPI의 설정에 의한 이해관계자 등으로부터 적극적인 평가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단지, 중요과제란 관계가 엷은 자사의 형편에 좋은 KPI를 특정하는 경우는 이해관계자 등으로부터 이해를 얻기가 곤란하다. 왜 그와 같은 KPI를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해 SDGs, TCFD, UN지도원칙 등 영향력이 높은 국제규범과 정합성을 근거로 적극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이규철/법학박사(상법)

SDGs&ESG, AI·GPT 코치 및 강사

100세대학 크리에이터, ISO 45001 심사원

칼럼니스트 : SDGs·ESG, 100세대학, AI교과서

저서 : 생성AI와 챗GPT교과서, SDGs·ESG경영전략 실무서,

  글로벌 MBA to CEO, 리더의 필승전략, 행복디자인 매뉴얼 등

일본(와세다대), 중국(복단대·화동정법대)유학  

1
0

URL 복사

아래의 URL을 전체 선택하여 복사하세요.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